|
 |
|
 |
|
 |
혈액은 몸 안의 모든 장기의 세포에 산소,
영양분, 호르몬 그리고 영양물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감염에 대한
방어기관이자 독소와 노폐물을 운반해내는 기능도 하고 있기 때문에, 체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
혈액성분에 변화를 주게 됩니다. 따라서 질병의 진단, 치료 및 예후를 판정하기 위해 혈액의
각종 성분을 검사는 일이 혈액 검사의 목적이 됩니다.
|
|
 |
혈액검사법 |
|
혈액을 채혈하여 혈액의 형태학적,
생화학적, 면역혈청학적 검사 등과 함께 화학 검사를 하게 됩니다.
|
 |
형태학적 검사법 |
|
혈색소, 헤마토크릿(혈구용적), 적혈구, 백혈구, 혈소판수, 백혈구의
세포백분율 등을 측정하는 혈구 검사 및 혈액도말 검사 (혈액을 슬라이드에 얇게 발라 염색하여 혈구의 모양,
수 등을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)를 실시합니다. 또 출혈시간  응고시간  모세혈관
저항 등을 검사해서 출혈경향  혈액질환  감염증
등의 진단과 각종 질환의 경과와 예후판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.
|
 |
생화학적 검사법 |
|
혈액 내의 각종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청단백질(알부민과
글로불린), 전해질(電解質:나트륨  칼륨  염소  칼슘  인
등), 혈당  요소  질소  각종
지질(콜레스테롤  인지질
 중성지방  유리지방산
등), 혈청효소활성(트랜스아미나아제  알칼리포스파타아제  콜린에스테라아제
등)이나 호르몬활성 등을 측정하여서 각종 질환의 진단이나 경과의 관찰에 도움을 줍니다.
|
 |
면역혈청학적 검사법 |
|
면역혈청검사는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, 항체 검사를 하는
것으로 B, C형 간염, 에이즈, 매독 등을 진단합니다. 또한 류머티즘 질환 진단과 함께 각종 면역 세포의
기능도 혈액에서 이들 면역 세포를 분리해내어 실시할 수 있습니다. 기타 알레르기의 각종 원인이 되는 물질에
대한 혈액 내의 특정 면역 글로불린을 측정하므로써 알레르기의 원인을 밝히게 됩니다.
|
 |
특수화학 검사법 |
|
심근경색증,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저하증, 각종 대사산물은 선천성,
또는 후천성 대사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방법입니다. 이 검사에는 암표지자 검사가 포함되는데 이들은
특정 암을 직접 진단해 주지는 못하지만 암의 진단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|
|
|
 |
|
 |
 |
|
 |
|
 |
혈액검사항목 |
|
일반혈액검사
(WBC, RBC, Hb, HCT, MCV, MCH, MCHC, platelet )
- 적혈구 관련 질환 : 빈혈, 철대사 및 철 결핍성 빈혈, 거대적모구성 빈혈, 용혈성
빈혈 등
- 지혈 및 혈전 관련 질환 : 혈소판 이상, 선천성 응고인자 이상 질환, 파종성 혈관내응고증
및 관련 증후군 등
- 백혈구 관련 질환 : 림프절, 비장 및 단핵구-대식세포계 이상질환, 조직구증식증후군,
백혈병, 골수이형성 증후군 등
혈액형
검사 (ABO, Rh)
-혈액형
간기능
관련검사 (SGOT, SGPT, ALP, r-GTP, Total protein,
Albumin, Total bilirubin)
-급 만성 간염, 간질환, 간경변증, 알콜성 장애, 지방간, 황달, 영양상태
신장기능
관련검사 (BUN, creatinine, uric acid)
- 신부전, 뇨독증, 통풍성 질환
지질
관련검사 (Total cholesterol, triglyceride)
- 동맥경화, 지방간
심장기능
관련검사 (LDH, CPK)
- 심근경색, 다발성 근염
췌장
및 혈당 관련검사 (Amylase, glucose)
- 급 만성 췌장염, 당뇨
혈청
면역 관련검사 (VDRL, anti-HIV, HBs Ag, HBs Ab)
- 매독, 에이즈, B형 간염 감염 및 면역 여부
|
|
|
|
 |
|
 |
|
|